나에게 맞는 공유기 보는 방법 2021ver

IT/생활속 IT Tip|2021. 5. 31. 01:29
728x90
반응형

 

 

이 내용으로 글을 쓰면서,

 

당시에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고

 

이게 그렇게 많이 찾는 글이 될 줄은 몰랐습니다.

 

월 단위 조회 수

 

이 글을 다시 한번 작성하는 이유는

 

크게 3가지입니다.

 

1) MESH 기능이 추가되어 공유기가 더 세분되었습니다.

 

2) MU-MIMO 지원 공유기가 대폭 늘었습니다.

 

3) 공유기 가격 차이가 더 세분되었습니다.

 

이 이유 때문에 좀 더 완벽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혹시 빠진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전 게시글을 한 번 읽어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나에게 맞는 공유기 보는 방법

오늘은 지식인을 활동하면서 가장 많이 보이는 공유기 보는 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까합니다. 일단, 이 글 자체가 초보자 중심으로 최대한 쉽게 풀이를 하기 때문에 다소 장문의 글이라는 점 유의

minereu.tistory.com

 

 

이 글을 처음 읽으시는 분들도 있으니,

 

차근차근 용어 설명부터 하겠습니다.

 

 

 

공유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인터넷망을 여러 장치가 사용할 수 있게 가상 IP주소로 나눠주는 역할을 합니다.

(과거와는 다르게 공유기의 역할은 점점 확대되어,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유선과 무선

 

유선은 선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사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무선은 무선을 지원하는 공유기에 유선을 꽂아, 선의 제약 없이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합니다.

(전파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무선이라는 단어는 와이파이나 블루투스와 같은 기술도 포함됩니다)

 

 

 

랜카드

 

유선과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장치.

 

주로 USB와 PCIE 방식이 있으며, USB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USB 무선 방식
USB 유선 방식
컴퓨터 PCIE 방식

 

 

 

랜선

 

유선으로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전선을 말합니다.

 

일반 전선과는 다르게, 랜선에는 등급에 따라 성능 차이가 극심합니다.

 

랜 케이블 성능 표

 

사진에 나와 있듯이

 

전송속도는 여러분이 잘 알고 있는 이동속도를 말합니다.

(다운로드 속도나 업로드 속도 등)

 

대역폭은 어느 정도의 데이터양을 받아줄 수 있는지를 말합니다.

(대역폭이 낮으면 전송속도만큼 원활하게 나오지 않습니다)

 

규격은 전송속도를 구분해놓은 것인데, 신경 안 쓰셔도 될 부분입니다.

 

위에 얘기한 대역폭은

 

CAT.5E vs CAT.6를 비교할 경우,

 

전송속도 1Gbps라고 나와 있지만,

 

실제로는 제조사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CAT.6 대비 CAT.5E가 최소 10% ~ 최대 50%까지도 성능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역폭 차이로 인한 부분으로, 실제 토렌트나 최대 대역폭으로 사용 시 속도 차이가 확실할 겁니다.

 

저라면 최소한 CAT.6 이상 구매하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애초에 CAT.5E와 CAT.6는 내부구조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가격 차이가 꽤 날 겁니다.

 

원래 50m 이상이 아닌 이상은 성능 차이가 거의 없다시피 하지만,

 

이는 환경에 따라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유의해주셔야 합니다.

 

 

 

기가 인터넷, 메가 인터넷

 

100Mbps(12.5MB/s)속도 이하 인터넷을 메가 인터넷이라고 하고

 

500Mbps(62.5MB/s) 이상 속도부터는 기가인터넷이라고 부릅니다.

 

현재 기가인터넷은 1Gbps(125MB/s)까지 있으나, 1Gbps 속도 다 나오는 곳은 거의 없습니다.

 

일부 지역의 경우 2.5기가 인터넷 이상도 가능하긴 합니다만,

 

이는 극히 일부에 불과하기 때문에 2021년인 현재도 아직까진 신경 안 쓰셔도 될 부분은 같습니다.

 

 

 

비트 표기와 바이트 표기

 

데이터양 단위 중에 비트와 비퍼세가 있는데,

 

IT 쪽에서는 뭔가 좀 크게 해서 빠른 것처럼 과장 되게 하기 위해

1B(바이트)가 아닌 bps(bit per second)로 표기를 합니다.

 

상술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알고 계시는 게 좋습니다.

 

1B(바이트) = 8bit(비트)

 

바이트가 흔히 알고 있는 다운로드 속도입니다.

 

비퍼세로 하면 뭔가 커 보이는데, 실제로 다운받으면 작아 보이는 게 그 이유입니다.

 

예를 들어, 1Gbps(1기가비퍼세)면 뭔가 빨라 보이죠?

 

이걸 바이트 단위로 바꾸면 1000비트 ÷ 8 = 125바이트이기 때문에 MB로 계산하면,

 

1Gbps 속도는 초당 최대 125MB를 다운받을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저 속도 다 못 받습니다.

(참고로 KB, MB, GB는 킬로바이트나 메가바이트, 기가바이트의 줄임 말입니다)

 

바이트보다 더 작은 비트로 표기하여 뭔가 속도가 더 빠른 것처럼 보이게 하는 이 상술...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에서 표기하는 방식은

 

Bps(Byte per second)입니다.

 

표기할 때는 B/S로 표기합니다.

 

메가면 MB/S, 기가면 GB/S 이런 식으로, 초당 몇 메가, 초당 몇 기가의 속도가 나오는지를 말합니다.

 

 

 

랜포트

 

랜 포트는 랜선을 꽂는 단자를 말합니다. 이게 없으면 랜선 꽂을 곳이 없죠

 

 

 

WLAN

 

랜 포트 중에서 인터넷을 직접 받아들이는 단자입니다.

(WLAN 포트가 없는 스위칭 허브 모델의 경우에는 아무 곳에 꽂아도 상관없습니다)

 

공유기 중에 기가 무선 공유기라면서 자랑하는 일부 저렴이 공유기들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이런 공유기들을 잘 보셔야 하는 게,

 

WLAN이 100Mbps면, 1Gbps 속도의 무선이 아닌 100Mbps의 무선이 나옵니다.

 

그럼 왜 그렇게 광고를 하고, 왜 살까요?

 

무선 특성상 주변의 간섭을 많이 받기 때문에, 속도 저하가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좀 더 좋은 성능의 공유기를 구매해서, 신호를 더 강하게 만드는 수 밖에 없습니다.

 

이 때문에 집이나 회사가 100Mbps인 곳에서는

 

굳이 기가를 살 필요도 없고, 돈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공유기를 구매합니다.

 

단, 상술인 부분도 있기 때문에,

 

기가 공유기라고 샀다면

 

만회할 수 없는 실수를 하신 겁니다.

 

 

 

802.11 b a/g n ac

 

이 알 수 없는 숫자와 영어는 무선을 구분하는 규격입니다.

 

802.11b: 최대 11Mbps 속도

 

802.11a/g: 최대 54Mbps의 속도

 

802.11n: 최대 300Mbps의 속도

(N은 보급형이지만, 일부 상위 N 중에서는 듀얼 채널 밴드도 지원)

 

802.11ac: 최대 1,200Mbps 이상의 속도

 

참고로 이 속도는 2.4와 5.0 대역폭 둘 다 합친 속도입니다.

 

실제 속도는 다르니, 상품 설명에서 해당 대역폭 성능을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예를 들어 AC1300은 5.0GHz 867Mbps + 2.4GHz 400Mbps 조합입니다.

 

 

 

WIFI 규격에 대해서

 

최근 들어 ac 이상의 규격의 성능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무선 규격이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기존 N 규격의 성능은 WIFI4.

 

기존 AC 규격의 성능은 WIFI5.

 

기존 AC 규격 이상의 대역폭을 가진 WIFI가 WIFI6입니다.

 

그리고 이 WIFI6가 IEEE 802.11ax를 말하는 겁니다.

 

802.11ax는 쉽게 말해서 기존 2.4GHz ~ 5.0GHz까지 사용하던 대역폭 규격에서

 

1GHz ~ 7GHz까지 사용 가능한 규격을 말합니다.

 

2.4GHz보다 낮으면~ 그만큼 더 멀리.

 

5.0GHz보다 높으면~ 가까운 만큼 성능이 더 좋게 나오는 것이죠.

 

 

 

채널 밴드

 

와이파이 중에 2.4GHz라던가 5GHz 있는데, 그걸 말하는 겁니다.

 

듀얼 채널 밴드 하면, 보통 2.4GHz와 5GHz를 먼저 말합니다.

 

2.4GHz의 경우에는 먼 거리에서 사용이 가능하지만, 속도가 안정적이지 못하고,

 

5GHz의 경우에는 속도는 안정적이지만, 근거리밖에 사용이 안 됩니다.

 

하지만, 사실은 주파수 대역폭의 강도를 간단하게 구분해놓은  것뿐입니다.

 

대충 20Mhz, 40Mhz, 80Mhz, 160Mhz와 같은 대역폭이 있으며,

 

대역폭이 높으면 높을수록 전자파 노출이 많아지고, 멀면 멀수록 속도가 떨어집니다.

 

이런 밴드에도, 현재 공유기에는 3가지가 존재합니다.

 

싱글 밴드, 듀얼 밴드, 트라이 밴드.

 

쉽게 말해서, 싱글 밴드는 2.4GHz 대역폭을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고,

 

듀얼밴드는 2.4GHz와 5.0GHz를 둘 다 사용하는 걸 말합니다.

 

트라이밴드는 듀얼밴드에서 5.0GHz를 하나 더 넣어, 속도와 성능을 증폭시킨 걸 말합니다.

 

성능 순은 트라이 밴드 > 듀얼 밴드 > 싱글 밴드 순입니다.

 

 

 

SU-MIMO, MU-MIMO

 

어디서 많이 들어보시는 분들도 있으실 겁니다.

 

아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사진과 같습니다.

 

동일 성능으로 사용하게 만들어줍니다.

 

당연하지만, 지원하는 공유기는 더 비싸고, 성능이 좋습니다.

 

SU방식은 기존 공유기들이 많이 쓰던 방식.

 

공유기 이름에 MU라고 안 적혀 있으면 대부분이 SU-MIMO 방식입니다.

 

사진에서도 보이듯이, 1번 2번 3번 4번 사람 순서대로 신호가 갑니다.

 

반대로 MU 방식은 4명에게 동시에 보내는 방식입니다.

 

다수 사용 시에는 MU 방식이 되게 유리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최근 들썩이는 MESH 기술

 

MESH 기술은 쉽게 말해서

 

서로 따로 놀고 있는 공유기들을 체계적으로 쉽게 통합하여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2.4GHz와 5.0GHz의 와이파이가 2개가 있으면,

 

MESH 지원 공유기 사용 시,

 

하나의 와이파이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멀때는 2.4, 가까울 때는 5.0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핸드폰에서는 하나의 와이파이, 공유기는 상황에 따라 자동 조정하는 기술입니다.

 

당연히 여러 개의 공유기 사용 시, 하나의 와이파이로 통합도 가능합니다.

 

이 기술을 간단하게 만들어준 게 EFM IPTIME입니다.

 

물론, 다른 회사들도 하나둘씩 늘어나는 추세긴 합니다만,

 

아직은? IPTIME 정도의 편리함과 체계가 잡혀있지는 않습니다.

(타회사의 경우에는 비슷한 가격대에 TPlink가 있습니다. 다르긴 하지만, 동일하게 MU-MIMO와 WIFI를 묶는 기능도 있죠)

 

이 글에서 MESH 사용법까지는 다루지 않겠지만,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유기와 필요 환경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00메가 인터넷 사용시 유선 공유기

 

EFM ipTIME V504 유선공유기 

 

아이피타임 ipTIME V504 4포트 유선 공유기

COUPANG

www.coupang.com

 

100메가 인터넷 사용 시 무선과 유선을 둘 다 잡고 싶다!

(유 무선 포함 최대 4명까지 사용 권장)

 

이지넷유비쿼터스 넥스트 NEXT-5004N 유무선공유기 

 

넥스트 1200Mbps IGMP 지원 듀얼밴드 유무선공유기

COUPANG

www.coupang.com

 

 EFM ipTIME A604MU 유무선공유기

 

IPTIME A604MU 공유기 와이파이 무선

COUPANG

www.coupang.com

 

100메가 인터넷 공유기는 따로 있는데, 랜선 꽂을 포트가 부족하다!

 

EFM ipTIME H605 스위치허브 

 

아이피타임 EFM네트웍스 ipTIME H605 스위치허브

COUPANG

www.coupang.com

 

 

기가 인터넷 랜선 꽂을 포트가 부족하다!

 

TP-LINK TL-SG105 스위치허브 

 

티피링크 5포트 데스크탑 스위칭허브 TL-SG105

COUPANG

www.coupang.com

EFM ipTIME H6005mini 스위치허브 

 

EFM ipTIME H6005mini 스위치허브

COUPANG

www.coupang.com

EFM ipTIME H6005 스위치허브 

 

EFM ipTIME H6005 스위치허브

COUPANG

www.coupang.com

 

 

기가 인터넷을 무선으로 쓰고 싶은데 가성비를 찾는다면?

(유 무선 포함 최대 4~5명까지는 여유롭게 가능)

 

EFM ipTIME A604G-MU 유무선공유기 

 

(주)이에프엠네트웍스 ipTIME A604G-MU 5GWIFI공유기 아이피타임공유기추천

COUPANG

www.coupang.com

 

 

기가 인터넷을 무선과 유선 둘 다 쓰고, MESH 기능까지 추가 장치 없이 사용하고 싶다면?

(유무선 포함, MSEH 사용시 최소 5명~8명은 거뜬히 가능)

 

EFM ipTIME A3002MESH 유무선공유기 

 

EFM ipTIME A3002mesh 유무선공유기 __

COUPANG

www.coupang.com

 

 

MSEH 기능 최강의 가성비 이지만, 소프트웨어 논란이 있으니 

 

EFM ipTIME A6004MX 유무선공유기 

 

ipTIME 유무선 공유기

COUPANG

www.coupang.com

 

아래 공유기로 구매하는걸 권장. 성능은 A6004MX가 더 좋긴 함.

 

EFM ipTIME A9004M-X2 유무선공유기

 

유무선 공유기 ipTIME A9004M-X2 4포트

COUPANG

www.coupang.com

 

 

가격대비 성능을 찾는 다면 아래 제품 추천

 

EFM ipTIME A8004T 유무선공유기 

 

이에프엠 ipTIME A8004T 유무선공유기 (1000Mbps AC2600)

COUPANG

www.coupang.com

 

 

2021년 6월에 출시한 10만원대 초반 최강 가성비.

 

성능으로만 따지자면 AX3004ITL 리뉴얼 제품으로 보이는데,

 

가격이 상당히 저렴해진 제품.

(참고로 AX3004ITL는 가격이 15만)

 

EFM ipTIME AX8004M 유무선 공유기 

 

[EFM-Networks] ipTIME AX8004M 블랙/화이트 유무선공유기

COUPANG

www.coupang.com

 

 

SMALL

 

 

이 이상의 금액은 추천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유는 이 이상의 공유기는 특정 환경이 아니면 사용도 하지 않을뿐더러, 답은 정해져 있기 때문)

 

원래 MESH 기능은 컨트롤러 + 무선 지원 + 유선 지원 까지 모두 있어야 합니다

 

아마, 예전 모델을 가지고 있다면,

 

컨트롤러가 없거나 무선이나 유선이 지원하지 않을 겁니다.

 

그렇다면, 그냥 저렴하게 무선을 A3002MESH로 바꾸는 게 낫습니다.

 

 

 

저도 고민 중에 작성하게 된 글이지만,

 

T3004 + A604G-MU에서 T3004 + A3002MESH 구성으로

 

와이파이만 묶을 예정입니다.

 

 

혹여나 위의 글 중 최대 인원에 대해서 의문을 남길 사람이 있을까 봐 남깁니다만,

 

사실 무선으로 핸드폰이나 노트북 등을 사용하면서

 

유선으로 컴퓨터나 셋톱박스를 여러대 사용한다고 가정을 하면,

 

이 수많은 데이터를 하나의 공유기가 감당하는 건 어렵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제가 지난번 글에도 그렇듯이,

 

괜히 따로 사용하라는 게 아닙니다.

 

 

혹시라도 극한의 성능, 편한 삶을 원하는 사람이 있다면,

 

아랫글을 읽어보길 권해봅니다.

 

 

가장 효율적으로 공유기 사용하는 방법

아무리 생각해봐도 공유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방법이 없습니다. 근데, 단순한 생각 하나로 효율적으로 바꿀 수 있다면.... 어떻습니까? IT 관련으로 블로그를 해오고, 지식인도 해오고, 수많은

minereu.tistory.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USB 버전에 따라 뭐가 다를까? USB 버전별 차이점

IT/HW Tip|2021. 5. 21. 18:28
728x90
반응형

 

 

반갑습니다.

 

오늘은 많이들 쓰시는 USB 2.03.0, 3.1에 대해 다뤄볼까 합니다.

 

솔직히 전송 속도와 전류량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는 없습니다.

 

버전별 표

 

USB 2.0은 이론상 초당 60MB 정도 옮길 수 있고, 500mA까지 커버 가능합니다.

 

USB3.0은 이론상 초당 625MB 정도 옮길 수 있고, 900mA까지 커버 가능합니다.

 

USB3.1은 이론상 초당 1.25GB까지 옮길 수 있고, 5A까지 커버 가능합니다.

(USB3.1은 양방향 C타입으로, PD 충전이 더해지면 해당 포트로 노트북 충전이 가능합니다)

 

솔직히 속도를 보기 위해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건 USB 버전별 전류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USB 마이크, 스피커와 같은 음향기기들은

 

일정 이상 전류를 넣게 되면 부품에 무리가 갈 수 있기 때문에,

 

사용량이 500mA를 넘지 않습니다.

 

USB 마이크 같은 경우에도, 대부분이 100mA ~ 200mA 정도입니다.

 

혹시라도 연장선을 USB3.0으로 구매하시는 분이 계신다면, 2.0으로 사셔도 좋습니다.

 

그럼 900mA는?

 

이 정도는 스마트폰도 저속충전이라고 뜨기 때문에, 충전하긴 어렵습니다.

 

저전력으로 배터리 수명을 위해 충전을 하는 경우에만 추천을 드립니다.

 

 

아실지 모르겠지만, 충전 케이블, 전자기기, 충전 어댑터에는 스펙이 있습니다.

 

그 스펙에 한계치에 다다르게 되면 그 이상 전류를 못 받아들입니다.

 

핸드폰과 어댑터가 퀵차지를 지원해도, 정작 케이블이 500mA밖에 못받는 녀석이면

 

고속충전을 못 하게 되는 것과 같습니다.

 

만약 일반충전으로 핸드폰을 충전하시려는 분들은

 

그냥 포기하시고 충전기 사용을 권해드립니다.

 

 

어디까지나 전송속도와 충전속도는 연결이 되는 대상과 연결되는 매체의 스펙에 따라

 

결정이 되기 때문에, 이 부분은 잘 확인하고 사용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어드밴스원 27인치 200Hz 모니터 AF-270F200 간략한 리뷰

쇼핑/전자기기 리뷰|2021. 5. 15. 20:53
728x90
반응형

 

 

오늘은 21:9 비율 모니터에 이어, 서브 모니터 리뷰를 해볼까 합니ㄷㅏ...

 

 

모니터의 이름은 AF-270F200...

 

프리싱크와 지-프리싱크까지 모두 지원하며,

 

200Hz + 감마 2.6까지 지원하고,

 

27인치 최저가인 모니터입니다.

 

모니터 박스에 그대로 보내져 온 것은 포장이 꽝입니다.

 

정리가 깔끔한 부분은 가격대비 만족

 

모니터 선이 짧습니다. 이 부분은 AC 전원선을 2m 이상 구매하셔서 사용하는 게 책상 사용 시 도움 될 것 같습니다.

 

모니터 기스방지로 잘 한 것 같습니다.

 

??? 모니터에 나사가 박혀 있습니다. 이건 분실 방지에 아주 도움이 됩니다.

 

HDMI 버전까지 구분되어 있어, 사용하기에 엄청 편할 겁니다.

 

풀어서 다시 박으면 끝입니다.

 

이렇게 박으면 됩니다.

 

모니터가 생각보다 크진 않고, 적당합니다.

 

 

불량 화소 테스트

 

 

불량화소 점검 시 불량 화소는 없었습니다.

 

무결점인데 양품이 걸렸습니다.

 

이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이 모니터는 스탠드가 부실하기 때문에,

 

모니터 암 사용을 권해드리며,

 

75x75와 100x100을 지원합니다.

 

 

다만 DP 케이블이 1m이기 때문에

 

선만 추가로 구매하신다면, 사용하는 데 지장이 없어보입니다.

 

 

서브 모니터 및 게임용으로 가격대비 제격으로 보입니다~~

 

아, 참고로 중급 이상의 모니터 기능은 대부분 지원합니다.

(감마설정, S/W HDR 등)

 

 

직접 구매한 모니터 정보

 

어드밴스원 68.58cm FHD 보더리스 200HZ 게이밍모니터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쿠첸 가마솥엣지 10인용 밥솥 CJS-FD1021RDV 간략한 리뷰

쇼핑/쇼핑 리뷰|2021. 5. 15. 20:41
728x90
반응형

 

 

오늘도 어김없이 구매해서 작성하는 리뷰...

 

진짜 쓸데없이 산 것 같습니다.

 

물론, 밥맛은 쌀이 90%, 밥솥이 10%이기 때문에

 

적당히 기능성 좋고, 10인용에, 가격이 저렴한 거로 구매.

 

박스는 딱 봐도 나 밥솥이야~ 하듯이 잘 포장되어 왔다.

 

설명서가 가장 맨 위에 있는 모습은 구매자에게 읽으라고 권유해주는 것 같아 정말 잘한 부분

 

기스 방지용으로 해둔 것도 정말 좋은...

 

안 읽어도 읽어도 상관없는 설명서

 

뚜껑 외에는 전부 기스가 잘 나게 생겼다. 하지만, 뚜껑은 정말 잘 만듦.

 

뚜껑이 떨어져 있는데, 이 부분은 상품 안정성을 위해 잘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충 일주일간 써 본 결과,

 

2011년형 쿠쿠 IH 밥솥보다 정~말 좋습니다.

 

 

쿠쿠는 이제 질려서, 저렴하게 쿠첸으로 가자~ 했던 그때의 나.

 

진짜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좋은 건

 

고온 밥솥의 온도 조절과 현재 시간 설정, 얼마나 압력이 셋는지, 닫는데 시간이 걸리는 부분까지.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ㅎㅎ

 

 

얘는 닫을 때도, 열 때도 얼마나 내외부 차단을 잘해주는 알 수 있는데,

 

푸쉬쉬 소리가 정말 기분이 좋음...ㅎㅎ

 

 

 

 

직접 구매한 밥솥 정보

 

쿠첸 엣지블랙 10인용 전기밥솥 CJS-FD1021RDV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리빙웰 올 스테인리스 AF16 간략한 리뷰

쇼핑/쇼핑 리뷰|2021. 5. 15. 20:28
728x90
반응형

 

 

오늘은 또 빅스마일데이를 맞이하여 에어프라이어를 바꾸었습니다.

 

 

솔직히 수 많은 에어프리어들이 날 기다리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믿을 만한 마감과 스테인리스, 리뷰를 중점으로 선택을 했기 때문에

 

리빙웰 밖에 없었습니다.

 

 

솔직히 리빙웰과 같은 공장에서? 나온 제품이

 

GOSS AF2016L 도 있는데, 관심 있는 사람은 봐보는 것도 나쁘진 않아보입니다.

(가격이 저렴해서 눈독들이고 있었지만, 리퍼를 택)

 

일단 저 같은 경우에는, 리퍼 제품으로 2만 원 저렴하게 구매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리퍼 제품은 제조과정 중 발생하는 기스라고 하는데,

 

받아보니 기스도 뭐고 그냥 새제품ㅎㅎ

 

박스에 큼직큼직하게 파손 주의 표시를 하고 있습니다.

 

처음부터 설명서를 보여주고 있어, 위아래만 제대로 박스를 뜯는다면, 제품을 이해하기 쉬워보입니다.

 

박스 용량 및 요리기구 안전을 위해 스티로폼 옆에 둔 것은 좋은 생각이라고 생각합니다.

 

디지털 패널에 랩이 덮여 있기 때문에, 혹시라도 기스나 파손을 생각한 사람이라면 접어두어도 좋아보입니다.

 

랩 제거후, 정말 새 제품.

 

공간 활용 및 파손을 막기 위해 에어프라이어 안에 다 들어있습니다. 위에서부터 천천히 빼면 되며, 큰 에어프라이어이기에 가능한 부분.

 

맨 상단의 물건을 꺼내면, 다용도로 사용할 타공 팬이 있습니다. 보통 그냥 구워 먹을 때 쓰지 않을까. 참고로 2개.

 

가장 쓸 일 없을 통돌이다. 밤 같은 거 구워 먹을 때 좋을 듯.

 

세워보니 안에 들어있다. 꼬치구이용 기구가 들어 있는 듯.

 

맨 하단에는 기름 팬이 있습니다.

 

기름 팬을 보니 문뜩 생각난 것!

 

기본 구성품

 

팬이 없다.

 

팬이 있다는 걸 말하는 내용

 

보자마자 바로 전화를 했습니다.

 

1522-9117

 

전화를 걸어보니, 주문자 조회 후 바로 보내준다고 합니다.

 

 

그러고 이틀 뒤... 바로 받을 수 있었음.

 

 

 

 

이 제품의 팬은 따로 돌지 않습니다.

 

혹시 선풍기 처럼 따로 돌 거라고 생각했다면 크나큰 착각.

 

얘는 위에 있는 팬의 영향을 받아 같이 돌아가는 방식입니다.

 

그러므로 팬이 돌아가는 위치가 정해져 있습니다.

 

기름받이 팬에 팬을 꽂은 후, 끝까지 넣어줘야 팬이 돌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네요.

(혹시라도 팬이 안 돌아간다면 끝까지 넣어보시거나 전원 다시 넣어보시길)

 

 

 

장점

 

용량 대비 되게 저렴

 

현대해상 1억 원 보험 가입

 

타사 대비 비교적 조용한 에어프라이어

 

타사 대비 비교적 열 방출이 적은 에어프라이어

(에어프라이어를 돌려도 주변이 뜨겁지 않음, 에어프라이어 외부도 포함)

 

가격 대비 다양한 구성품

 

색상에 따른 디자인 차별화

(예 : 화이트 색상 구매시 선 색상도 화이트)

 

타사 대비 넓은 디지털 패널

 

에어프라이어의 고질적 문제 개선 효과

(에어프라이어 하단 팬)

 

타사 대비 긴 전원선

 

믿을 만한 A/S

 

스테인리스 특성상 연마제 우려가 있으나, 상단 열선을 제외하고는 전혀 나오지 않음

 

 

 

단점

 

튀김 팬이 별도로 제공되지 않음

 

주문시, 확률에 따라 기본구성품이 누락되는 경우 다수

(저의 경우 팬이 빠짐, 구매자의 확인 필요)

 

에어프라이어의 고질적인 문제 개선 효과 미미

(하단 팬이 상단 팬의 힘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위아래 골고루 익히지 못하는 문제 해결 부족)

 

 

2주일간 써보니 이 정도입니다.

 

여기서 가장 궁금해하실 부분은 고질적인 문제일 텐데요.

 

에어프라이어는 열선 위에 팬이 달려있어, 그 팬으로 열기를 순환 시켜 익혀주는 방식입니다.

 

다만, 이 팬이 상단에만 있어 음식이 위쪽 면 밖에 구워지지 못하는 고질적인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회사가 내놓은 방안이

 

더블 열선, 하단 팬, 더 강한 상단 팬 등등이 있는데요.

 

솔직히 아직까지 큰 개선 효과는 없습니다.

 

더블 열선의 경우에는 위아래 골고루 익는 대신에, 기름이 하단 열선에 붙어 탄 냄새가 날 수 있는 우려가 있습니다.

 

더 강한 상단 팬의 경우에는 에어프라이어 소음이 타사에보다 더 시끄러울 수 있습니다.

 

전 이 중에서 그나마 하단 팬이 더 유리하다고 생각이 드는데,

 

리빙웰은 분리가 가능한 무전원 팬을 넣음으로써, 세척과 편리함을 둘 다 잡은 거 같습니다.

 

실제로 사용해보니, 하단 기름받이를 끝까지 넣었을 때 팬이 작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사용하는 면적이 많을 수록 팬이 안 도는 걸 보아, 상단 팬의 바람의 강도에 따라 팬이 안 돌 수도 있음)

 

180도 20분간 치킨을 구웠을 때,

 

위아래 뒤집을 필요 없이 한 번에 익혀지는 걸 볼 수 있었습니다.

 

물론, 대량으로 구울 경우, 열선이 상단에 있기 때문에

 

상단에 가까운 부분일수록 윗면이 탈 수 있는 부분은 어쩔 수 없는 부분입니다.

 

다른 제품은 추천 못 드리지만,

 

더블 열선을 가진 에어프라이어만 최소한 피하시는 게 좋지 않을까 권해드리는 부분입니다.

(실제로 리뷰 보시면, 탄 냄새 관련 리뷰가 많을 겁니다.)

 

 

 

직접 구매한 에어프라이어 정보

 

리빙웰 스텐 에어프라이어 대용량 16리터 AF16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마이크로닉스 WARP GX1 M.2 NVMe 리뷰

IT/HW Tip|2021. 5. 14. 13:43
728x90
반응형

 

 

빅스마일데이를 맞이하며 폭풍 구매를 했습니다.

 

 

다른 NVME를 봐도 가격대비 적당한 게 없어서,

 

MX500을 이어, 또 마이크로닉스 제품을 사기로 결정!

 

요즘 택배는 참 빠릅니다. (주문한지 하루 만에 옴)

 

필자의 메인보드는 m.2 써멀방열판이 기본으로 있어서 그걸로 장착

 

가장 궁금해할 속도 및 온도!

 

온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잡힙니다.

 

속도는 제조사 기록으로는 3400 / 3000으로 나오는데,

 

생각보다 못 미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제 컴퓨터 메인 SSD로 윈도우를 설치후 측정해서 그런 듯)

 

 

근데 뭐 큰 차이는 아니어서 그냥 잘 쓰고 있습니다.

 

DARM도 DDR4 1GB나 되기 때문에 믿고 사용.

 

 

 

 

 

직접 구매한 마이크로닉스 SSD 정보

 

내장형SSD WARP GX1 M.2 NVMe(1TB)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SONY 1000xm4 간략한 직구 리뷰

쇼핑/전자기기 리뷰|2021. 5. 14. 13:18
728x90
반응형

 

 

쿵짝짝 쿵짝짝

 

드디어 Sony 1000xm4를 구매했습니다.

 

빅스마일데이 할인 + 직구 가로

 

진짜 저렴하게 삼

 

알고 계실지 모르겠지만, 직구는 A/S가 안 됩니다.

 

우체국으로 받아보니, 비닐로 포장되어 있었음

 

비닐을 뜯으니, 박스가 고급스럽다는 걸 바로 알게 됨. 만졌을 때의 그 느낌~

 

박스는 왼쪽으로 기울면 바로 천천히 빠지는 방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케이스에 제품이 같이 들어있습니다. 되게 고급스럽고 튼튼한 케이스입니다.

 

케이스를 열어보니, 설명서가 포함되어 있네요.

 

앱 사용권도 같이 줍니다.

 

케이스를 열어보니 되게 고급스럽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써본 결과, 지금 쓰고 있는 코드리스 이어폰과의 차이점은 크게 느끼지 못했습니다.

 

고급스러운 마감과 디자인, 블루투스 5.0, 유선 사용 시 잡음이 없다는 점,

 

착용만으로도 어느 정도의 소음을 막아주는 효과와

 

모바일로 연동 시 노이즈캔슬링 강도 조절까지 생각해본다면 엄청난 녀석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능은 다 설명해주겠지만, 2번 두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말할 때 오히려 밖의 소리를 증폭시켜주는 기능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장점 아닌 단점이라면, 헤드폰 특성상 어느 정도의 장시간 사용 시 귀에 땀이 찰 수도 있습니다.

 

얘는 어느 정도 발열이 적어서 2시간 정도까지는 큰 문제 없었습니다.

 

사람에 따라 천차만별이겠지만, 블루투스 반응속도도 괜찮았고 유선도 괜찮았습니다.

 

게임에서도 블루투스 5.0으로 사용하신다면 0.1초 미만의 딜레이로 할 만했습니다.

 

FPS 사용 시에만 2M AUX 단자 구매하셔서 사용하시면 다용도에 적합한 헤드폰입니다.

 

 

마지막으로 단점이라면

 

2가지 있습니다.

 

 

1) apt-x 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 부분은 게이밍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이므로, 무선으로 즐기고자 하시는 분들은

 

mx4보다는 mx3가 더 좋은 선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물론, 블루투스 5.0으로 사용하면 큰 체감은 힘듭니다.

(직구가 할인 적용 시 10만 원대에 구매 가능합니다.)

 

 

2) 스마트폰 사용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어떤 기능을 사용을 하든, PC와 연동되어 설정하는 프로그램이 없습니다.

 

모바일에서 설정 시, 해당 상황에 맞닥뜨리면 자동으로 실행해주는 기능은 있으니

 

노이즈캔슬링 자동 관리는 걱정 안 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헤드폰을 벗으면 PC 연동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멈춤)

 

 

 

 

직접 구매한 SONY 1000XM4 정보

 

소니 블루투스 노이즈캔슬링 헤드폰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ASUS 메인보드 라이젠 자동 오버하기

IT/SW Tip|2021. 5. 14. 12:51
728x90
반응형

 

 

매번 재부팅하며 맞춰야 하는 전압과 클럭...

 

이젠 자동으로 하면 됩니다.

 

이 프로그램은 ASUS 메인보드 사용자만 사용이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메인보드 설정을 프로그램 설정으로 바꾸고(이 과정에서 재부팅)

 

그걸 바로 적용하는 원리입니다.

 

당연히 메모리 오버는 아직까지는 안 되기 때문에

 

따로 메모리 오버 안정화를 거치신 뒤에,

 

CPU 오버를 진행하셔야 합니다.

 

이쯤에서 생길 만한 오해가 있습니다.

 

 

도대체 CPU와 메모리 오버는 왜 하는 걸까?

 

 

이는 성능을 위한 부분도 있지만, 조금이라도 안정성과 전기요금을 위한 부분도 있습니다.

 

CPU는 만들어낼 때 수율이 다 같을 수는 없습니다.

 

조금이라도 전압이 적으면 작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수율이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만한 전압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기본 전압이 높아, 안 그래도 고사양 CPU 온도가 높게 잡힙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PU 전압 다이어트를 합니다.

(올 코어 부스트와 단일 코어 부스트의 클럭 차이 때문에 일부러 일정 이상 오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메모리 오버는 왜 하는 것인가?

 

사실 인텔이라면 안 하셔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고 클럭 메모리를 사서 안 하셔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그만큼의 성능 차이가 뚜렷하기 때문에 적극 권장합니다.

(물론 라이젠 얘기입니다)

 

오버 방법은 생략하겠지만,

 

라이젠 CPU는 쉽게 말해서 원 코어 방식(인텔처럼)으로 만드는 게 아니라,

 

4+4와 같은 묶음 방식으로 만듭니다.

(AMD CPU가 다 그렇습니다)

 

원코어는 하나라도 불량이 나면 버려야 되지만,

 

AMD는 4코어가 불량이 나면 8코어 중 4코어를 죽이고, 4코어 CPU로 시장에 내놓으면 됩니다.

 

이 때문에 인텔이 14나노 공정에 머무를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지금의 라이젠 5세대는 4+4도 아닌 8+8 이상의 묶음으로 만들기 때문에

 

더 성능이 좋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이 묶음 방식의 단점은 4+4일 때. 서로를 연결한 다리가 필요합니다.

 

그 다리 역할이 메모리인 거죠

 

그래서 메모리 클럭이 높아야 그만큼 성능이 안정적입니다.

 

CPU도 전압 다이어트를 거친다면, 더 적은 발열에 더 좋은 성능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CPU 오버의 간편한 프로그램을 소개할까 합니다.

 

 

프로그램 이름은 ai suite 3로. ASUS 기본제공 프로그램입니다.

 

다운로드 방법은 아랫글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마더보드] AI Suite 3 - 문제해결 가이드 | 공식지원 | ASUS 한국

 

www.asus.com

 

일단 프로그램을 설치하시고 나시면,

 

이런 화면이 뜹니다.

 

좌측 메뉴바를 이용하면 다루기 편합니다.

TurboV EVO를 눌러 들어갑니다.

 

들어가면 이런 화면이 뜹니다.

세세한 설정은 다 몰라도 상관은 없습니다.

 

하단의 칸만 설명하겠습니다.

 

CPU FreQuency는 해당 CPU 코어 클럭과 배수를 알려줍니다.

 

Voltage는 CPU에 들어가는 전압을 알려줍니다.

(실시간 전압입니다)

 

마지막 우측 둘은 각각 실시간 온도와 팬 속도입니다.

 

상단의 Auto Tunong을 누르시고, 시작을 누르시면 끝납니다.

 

해당 문구에서 '예' 를 눌러주세요.

누르는 순간 컴퓨터가 재부팅될 겁니다.

 

재부팅이 진행된 후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켜질 텐데요.

 

자동 오버 값이 적용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이 클럭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종료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원리는 앞서 말했다시피, 재부팅을 하면서 프로그램 세팅값을 메인보드 바이오스에 적용하는 겁니다.

 

다만, 2021.5.14 기준으로 사진의 설정값이 재부팅시 초기화되는 걸로 봐서, 적용이 안 되는 듯합니다.(수동 적용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렇게, 자동 오버가 끝났습니다.

 

CPU 오버 값이 생각보다 못 미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아랫글도 한 번 읽어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SUS 메인보드 오버가 잘 안 될 때 해결 방법(극한 오버)

분명히 난 좋은 메인보드와 좋은 CPU, 좋은 부품들을 샀음에도 오버가 생각보다 안 되는 경우가 있다. 즉, 내 이야기다 ㅋ 진짜... 이렇게 허무하게 이야기가 끝날 줄은 몰랐다, 이유는 간단했다.

minereu.tistory.com

 

ASUS ROG STRIX B550-A GAMING (STCOM)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피스넷 퓨어360 간략한 개봉기

쇼핑/쇼핑 리뷰|2021. 5. 12. 12:29
728x90
반응형

 

 

이번엔 공기청정기를 사봤습니다.

 

진짜 잘 산 것 같지만 여러 장단점도 있는 거 같네요.

 

 

 

장점

 

1) LED 무드 등이 있어서 야간에 좀 멋짐.

 

 

2) 공기 청정 풍속을 4단계까지 조절이 가능.

 

이 부분은 설명서에 있으니 생략

 

3) 헤파필터가 H13으로 가성비 끝판왕이다. 무려 99.95%까지 걸러냄.

 

4) 마지막으로 저렴한 전기 요금 정도일까?

(제조사에서 전기요금이 3만 원 이하일 경우, 월 900원 정도 나온다고 함)

 

 

 

1) LED 단계 조절이 안 됨.

(무조건 풍속에 따라 조절이 되고 OFF 기능이 있음)

 

2) 방안 미세먼지가 어느 정도인지 보여주는 센서 같은 게 없음.

 

 

 

센서만 사면 가격대비 가성비가 아주 좋은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장 좋은 건 50㎡ 까지 커버함 ㅋ

 

 

 

 

 

 

 

직접 구매해서 리뷰한 공기청정기 정보

 

피스넷 퓨어360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0xc000000e EFI 파티션(GPT) 손상 오류 해결 방법

IT/SW Tip|2021. 5. 11. 18:49
728x90
반응형

 

 

 

이 코드는 EFI 파티션이 손상되어 인식할 수 없을 때 나오는 코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블로그를 읽은 당신.

 

 

진짜 유감입니다.

 

 

이 문제는 아무리 생각해도 해결 방도가 없습니다...

 

제 컴퓨터는 GPT.

 

즉, UEFI 컴퓨터(2TB 이상 인식)이기 때문에

 

MBR 시스템이신 분들은 자연스럽게 뒤로 가기를 눌러주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코드에 대한 해결 방법은 총 4가지가 있습니다.

 

물론, 데이터를 날리고 싶지 않아서 검색하셔서 읽고 계실 텐데,

 

저도 그렇듯, 수많은 검색을 했고, 이 원인을 해결하기는 어려웠습니다.

 

 

 

해결 방법을 말하기 전에,

 

제가 이러한 증상을 격게 된 이유는

 

SSD 마이그레이션 이후, 전 저장장치의 데이터를 지우고 재부팅에 실패한 게 원인입니다.

 

파일은 그대로 있으면서도, 부팅이 되지 않으면서 아래 코드가 나옵니다.

 

보기 싫은 블루 스크린

즉, 부팅을 시켜주는 부트로더가 저장장치를 인식을 못 하는 문제가 발생한 것.

 

이 경우에는 윈도우10 자동복구가 전ㅡ혀 먹히지 않습니다....ㅜㅜ

 

 

이때, 우리들의 구세주 윈도우10 설치 USB가 필요합니다.

 

 

따로 없다면, PC방이라도 가서 USB를 구워 만들어오셔야 됩니다.

 

 

윈도우10 부팅디스크 만들기 (초보도 쉽게!!)

오늘은 #컴퓨터 #윈도우10 #부팅디스크 만드는 법에 대하여 소개해보고자 한다. 사실 필자도 오랫동안 컴퓨...

blog.naver.com

 

 

이제 부터 방법을 설명할 테니, 잘 따라오길 바랍니다.

(부팅디스크로 복구화면 들어가는 건 생략)

 

 

 

 

첫째, 시동 복구

 

윈도우 복구에 들어가면 이런 화면이 뜹니다.

 

이때, 시동 복구를 찾아서 누르면 자동으로 윈도우를 복구해줍시다.

 

 

 

 

 

 

둘째, 시스템 복원

 

컴퓨터 사용할 때, 복원 영역을 설정해두었다면 손쉽게 전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만약 설정이 안 되어 있다면, 진짜 유감입니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설정해줍니다.

 

 

[ 윈도우10 ] 복원 지점 만드는 방법 #시스템복구 #백업 #환경설정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어느 순간 에러가 발생하여 포맷을 해야 하는 경험들이 모두들 한번씩은 있었을 것입...

blog.naver.com

 

 

 

 

 

셋째, 명령 프롬프트

 

이건 제가 시도한 방법입니다.

(진짜 성공해서 안심)

 

인터넷에 나오는 명령어 다 써봐도 전부 동일한 증상이 나왔는데,

 

1)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 윈도우에 따라 없는 경우도 있다고 함

 

2) 경로가 올바르지 않습니다. - 안 먹히는 명령어도 있어서 그냥 안 됨

 

3) 액세스 거부 - GPT의 경우에는 명령어가 따로 있음

 

등등...

 

 

 

결국, 방법을 찾았습니다.

 

 

 

 

진짜 이 블로그 작성하신 분은 복 받으셔도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블로그는 공개하지 않음)

 

 

diskpartlist disk 를 입력, * 표시가 있다면 GPT 시스템입니다.

 

확인 후 exit 를 입력하면,

 

DiskPart 마치는 중... 이라는 문구가 뜨면 정상적으로 나간 겁니다.

 

bootsect /nt60 all /force 를 입력

 

이후 diskpartlist vol 를 입력

 

 

그러면 현재 사용 중인 디스크 파티션이 모두 뜨는데,

 

이중 100MB 정도의 용량인 디스크 번호를 확인하면 됩니다.

 

 

 

저의 경우 2번이었습니다.

 

 

2번일 경우, sel vol 2 를 입력합니다.

 

이후 assign letter=z: 를 입력합니다.

(해당 파티션을 Z로 할당한다는 말)

 

이후 exit 를 입력해 나가면 됩니다.

(마치는 중이라고 나와야, 정상적으로 나온 겁니다)

 

 

마지막으로

 

 

bcdboot c:\windows /s z: /f all 를 입력

 

이러면 모든 게 끝납니다.

 

 

입력 후 재부팅을 하면 되는데,

 

 

혹시 파일을 찾을 수 없다거나, 경로를 찾을 수 없다는 문구가 뜨지 않나요?

 

 

그렇다면, 그 상태에서 바로 시동 복구를 해보면,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복구되어

 

항상 보던, 컴퓨터가 켜지는 화면을 볼 수 있을 겁니다.

 

 

 

 

넷째, 윈도우 재설치

 

마지막 방법은 이미 알지도 모르겠습니다.

 

파티션 자체가 증발한 거기 때문에,

 

다른 컴퓨터를 써서 백업하든,

 

윈도우 업그레이드를 통한 재설치로 윈도우 설치후,

 

파일 백업을 하는 것이 가장 나은 방법일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윈도우 업그레이드보다는, 윈도우 재설치를 적극 권장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