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정품 인증의 종류

IT/SW Tip|2019. 9. 9. 01:29
728x90
반응형

 

 

요즘들어

 

 

한번쯤은 이런글을 작성해야겠다!

 

 

싶어서 작성하게 된 글입니다.

 

혹시라도 모르셨던 분들은

 

이번에 제대로 알아가게 되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윈도우 정품인증 방식은 여러 방식이 있지만,

 

주로 많이 사용하는 것은 딱 2가지입니다.

 

 

OEM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컴퓨터 제조사에게

 

값싼 가격에 판매하는 윈도우 정품키입니다.

 

기업단위로 구매및 사용이 가능하며,

 

주로 쓰이는 곳은 여러분이 구매하시는 제품들입니다.

 

작동방식은 DSP와 동일합니다.

 

메인보드에 귀속되기 때문에,

 

메인보드 교환이나 고장시 윈도우 정품인증이 날아가는...

 

그런 참혹사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노트북 외에는 따로 사서 설치하는 게 좋습니다.

 

참고로, 이 방식은 개인이 구매할 수 없습니다만,

 

대부분의 브랜드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에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DSP

 

가장 많이 사용 하는 DSP 방식입니다. 가장 큰 원인은 가격이죠 ㅋ

 

이 방식은 OEM과 동일하게 메인보드 귀속이기 때문에,

 

메인보드 교환이나 고장시 윈도우 정품 인증일 날아갑니다.

 

DSP는 OEM과 동일하지만,

 

PC조립 업체와 같은 중소기업에서 구매하여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조립 PC 주문시 구매가 가능하지만,

 

메인보드 고장으로 인한 교체시 윈도우 정품인증이 풀릴 수 있습니다.

 

예외 사항으로 DSP는 일부 유저들에게는 CPU가 동일하다면 인증이 되는 경우도 있다고는 합니다

 

유저들마다 복불복이므로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FPP

 

여러분들이 가장 많이 친숙한 인증방식입니다.

 

구매하면, USB를 받아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 인증방식은 2가지 사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계정 귀속입니다.

 

마소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계정 로그인후 정품인증키만 등록하면,

 

윈도우10 설치이후 마소 계정만 로그인 해도 자동인증됩니다.

 

컴퓨터 갈아 탈 때에는 전 시스템을 포맷시켜버리거나,

 

로그인만 풀어도 정품인증이 가능해집니다.

 

두 번째는 인증키를 돌려서 쓰는 방법입니다.

 

인증키만 외우고 있으면, 윈도우10 설치후 인증키로 인증하시면 됩니다.

 

이후 필요에 따라 인증을 풀고 다른 시스템에 인증키 입력시 정품 인증이 가능합니다.

 

뭘 어떻게하든 사용자 편한 대로 하시면 됩니다.

 

 

 

 

ESD

 

FPP와 동일한 윈도우 인증방식입니다.

 

동일하게 계정 귀속도 가능하고, 인증키를 외워서 사용도 가능합니다.

 

FPP와 다른점은 ESD는 디지털 라이센스로 받아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즉, 구매시 이메일과 같은 경로로 받아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FPP보다 저렴하지만, 구매경로가 확실하진 않습니다.

 

 

 

그리고

 

 

 

 

윈도우10에는 한 가지의 더 예외가 존재합니다.

 

 

 

 

 

조직인증 서비스

 

이른바 불법 인증입니다.

 

KMS 인증이라고 해서,

 

쉽게 말해서 우회해서 인증 받는 방식입니다.

 

기존 인증방식은 마소 공식 서버 ☜ 윈도우 인증

 

KMS 인증 방식은 공식 서버 ☜ 사설 서버 ☜ 윈도우 인증

 

사실상 공식 서버에서 인증 받은게 아니기 때문에,

 

조직인증 서비스라고 뜨는 것입니다.

 

당연히 불법이고, 비정품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윈도우10 부터는

 

정품인증 사용자와 불법 인증 사용자를 분리했습니다.

 

그래서 비정품 사용자들은 정품인증 란에서 조직인증이라고 나올겁니다.

 

 

동네 비양심 컴퓨터점에서 돈 벌려고,

 

윈도우10 설치 + 비정품 크랙 인증으로 윈도우 인증했다고,

 

속이고 파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얼마지나지 않아, 윈도우 정품 인증이 풀리고 마는 것이지요...

 

이게 윈도우7 처럼 윈도우 인증이 안 풀리면 모르는데요.

 

 

윈도우10에서는 업데이트나 마소 서버에서

 

6개월이 지나면 자동으로 정품인증이 풀리게 해놨습니다.

 

그래서 KMS AUTO라는 프로그램은

 

6개월마다 자동 인증을 하게 만들었더군요??

 

 

 

참 대단하다고 생각하지만.

 

언젠가 정품이 풀리는 건 사실이고,

 

보안에 취약하게 만드는 건 달라질게 없습니다.

 

순간의 비용을 아낄려고 비정품으로 지내시는 것 보다는,

 

정품으로 지내셔서 개인정보 꼭 지켜내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기업에서 사용중일 경우,

 

신고만 하면 아주 큰 돈을 뜯어내게 만들 수 있습니다.

 

마소에서는 개인이면 몰라도, 기업 일 경우 거창하게 잡아댑니다.

 

 

절대로, 회사에서 불법인증이 하는 일이 없도록 합시다.

 

회사에 일하시고 계신다면. 회사에 말하면 OEM든 DSP든 줄겁니다.

 

그렇게 받아서 쓰시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정품인증 프로그램은 엄연한 불법입니다.

 

 

윈도우에서 강제로 바이러스로 인식이 될 겁니다.

 

정품인증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인증하게 켜놔도,

 

바이러스 관련 기능 안 꺼두면

 

결국 인증이 풀리게 되니, 꼭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냥

 

정품 쓰는게 가장 마음이 편합니다.

 

 

윈도우10 프로 Pro FPP 한글 영구적 사용버전

COUPANG

www.coupang.com

 

 

마지막으로,

 

윈도우 인증은 1개의 인증키에 1대의 PC만 사용이 가능하는 거.

 

꼭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윈도우 최대 2.2TB 인식문제, 윈도우 MBR ☞ GPT 파티션 변경하는 법

IT/SW Tip|2019. 9. 9. 00:58
728x90
반응형

 

 

 

오늘은 윈도우 설치의 필수사항을 들고 와봤습니다.

 

윈도우 10에는 쉽게 말해서

 

 

바이오스(Basic Input / Output System)

 

하위 컴퓨터 부품들을 제어하는 1차 장치입니다

 

 

 

LEGACY(BIOS)

 

 20년도 더 전부터 쓰이던 방식으로, 바이오스 메모리를 최대 1MB까지 밖에 못씁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식할 수 있는 용량은 모든 파티션 총합 2.2TB가 한계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진 호환성이 가장 좋습니다.

 

 

 

UEFI

 

현재 나오는 메인보드에 모두 반영되는 최신 펌웨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초기 부팅시 저장장치의 점검을 거치지 않고 바로 부팅되기 때문에

 

레거시 방식보다 더 빠른 부팅이 가능합니다.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4TB를 넘은 용량도 인식이 가능합니다.

 

혹시 고용량 HDD를 쓸 예정이라면 필수로 선택해야할 과정입니다.

 

 

 

GPT

 

UEFI방식의 파티션입니다.

 

메인보드 바이오스가 UEFI인데, MBR이면, 윈도우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반대의 상황도 동일합니다. 요즘 나오는 메인보드들은

 

UEFI UI를 레거시와 혼용이 되도록 적용했기 때문에,

 

윈도우가 MBR로 설치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래서 따로 포맷을 해주지 않는 이상은 2.2TB까지 밖에 사용을 못합니다.

 

 

 

MBR

 

과거부터 많이 사용해오던 포맷 방식입니다.

 

대부분은 처음부터 MBR로 잡혀 있기 때문에

 

따로 수정을 하지 않으면 나중에 데이터를 다 날려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2020년 정도 이후부터는 MBR을 지원 하지 않는 메인보드도 등장할 예정입니다.

 

 

 

 

 

자신의 바이오스가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 확인하는 방법

 

 

레거시 BIOS와 UEFI 모드의 차이점 - Windows 10 부트 모드

PC에 전원을 켜고 Windows OS를 시작할 때까지 PC의 하드웨어 및 운영 체제(OS) 사이의 펌웨어 인터페이스가 BIOS(Basic Input / Output System: 바이오스)입니다. BIOS는 마더 보드(메인 보드)의 ROM에 내장된 프로그램으로서 키보드, 마우스, CPU, 하드 디스크(HDD) 등의 하드웨어 장치를 초기화하여 제어하고 운영 체제(OS) 부팅에 바톤을 넘기는 연결 역할을 하는 유틸리티입니다.

www.tabmode.com

 

MBR에서 GPT로 변경하는 방법

(개인적으로 이분이 가장 깔끔하게 잘 설명하셨습니다.)

 

 

mbr파티션 GPT 디스크로 변경, 이 디스크에 Windows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선택한 디스크에 MBR 파티션 테이블이 있습니다노트북에 윈도우를 설치하려고 했더니, "이 디스크...

blog.naver.com

 

이렇듯 아주 간단하게 설명했는데요.

 

왠만해서는 처음 윈도우 설치시에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 게 좋습니다.

 

아니면, 저와 같이 포맷하고 다시 윈도우를 설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작동방식 자체가 다르다보니, 포맷은 필수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나에게 맞는 공유기 보는 방법

IT/생활속 IT Tip|2019. 7. 19. 07:32
728x90
반응형

 

 

이 글을 읽기 전에 앞서,

 

이 글 자체가 초보자 중심으로

 

최대한 쉽게 풀이를 하기 때문에

 

다소 장문의 글이라는 점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유기

 

아마, 많이 들어보셔서 아실 겁니다.

 

이 말 하나 때문에

 

다소 어려운 단어나 모르는 단어가 많이 나올 수 있으니

 

간단하게 용어 정리를 해봅시다

 

 

 

 

 

 

 

공유기

 

쉽게 말하자면, 인터넷을 가능하게 해주는 공유 장치입니다.

 

인터넷을 가능하게 전달해주는 기계라고 보시면 됩니다.

 

 

인터넷

 

인터넷이 연결되는 전자기기들을 연결하는 아주 큰 정보 통신망입니다.

 

 

유선

 

전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랜선 꽂아서 사용하는게 유선.

 

 

무선

 

유선으로 이용하여 전파를 내보내어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와이파이나 블루투스를 말하죠.

 

 

랜카드

 

유선과 무선으로 나뉘는데,

 

쉽게 말하자면 인터넷이 사용이 불가능한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입니다.

 

USB나 PCI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USB로 꽂아서 많이 사용하죠.

 

 

메인보드

 

(위에 내용 때문에 추가)

쉽게 말하자면, 컴퓨터 안에 두는 몸입니다.

 

이게 없으면 각종 컴퓨터 부품들을 장착하지 못합니다.

 

아주 중요한 기판이죠.

 

공유기나 모든 전자기기, 기계에는 다 들어가는 부품중 하나.

 

 

랜선

 

유선으로 연결하는 쓰이는 선을 말합니다.

 

선에 따라 등급이 존재하는 데,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케이블 성능

 

전송속도에 따라 다운받는 속도가 크게 차이가 나고,

 

대역폭에 따라 안정적인 속도가 보장됩니다.

 

일반적으로 먼 거리에서 연결할 때 대역폭이 크면,

 

안정적으로 속도 유지가 가능합니다.

 

 

 

기가 인터넷, 메가 인터넷

 

100Mbps(12.5MB/s)속도 이하 인터넷을 메가 인터넷이라고 하고

 

500Mbps(62.5MB/s) 이상 속도부터는 기가인터넷이라고 부릅니다.

 

현재 기가인터넷은 1Gbps(125MB/s)까지 있으나,

 

1Gbps 속도 다 나오는 곳은 거의 없습니다.

 

 

비트 표기와 바이트 표기

 

데이터 양 단위 중에 비트와 비퍼세가 있는데,

 

IT 쪽에서는 상술로 크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

(그런 부분이 있음)

 

1B(바이트)가 아닌 bps(bit per second)로 표기를 합니다.

 

1B(바이트) = 8bit(비트) 인데요.

 

바이트가 우리가 주로 다운 받는 데이터 속도입니다.

 

비퍼세로 하면 뭔가 커 보이는데,

 

실제로 다운 받으면 작아 보이는 게 그 이유죠.

 

예를들어, 1Gbps(1기가비퍼세)면 뭔가 빨라 보이죠?

 

이걸 바이트 단위로 바꾸면 1000비트 ÷ 8 = 125바이트이기 때문에

 

MB로 계산하면, 1Gbps 속도는 초당 최대 125MB를

 

다운 받을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저 속도 다 못받는게 현실입니다.

 

참고로 KB, MB, GB는

 

킬로바이트나 메가바이트, 기가바이트의 줄인말입니다.

 

바이트보다 더 작은 비트로 표기하여

 

뭔가 속도가 더 빠른 것 처럼 보이게 하는 이 상술...

 

저희들이 알아보기 쉬운 표기 방식은

 

Bps(Byte per second)인데요.

 

표기하는 건 B/S로 표기한답니다.

 

메가면 MB/S, 기가면 GB/S 이런식으로.

 

확실히 다르니 잘 구분하시길.

 

 

다운속도 표기

 

125MB/s 라고 적혀 있으면 s는 초를 뜻하기 때문에

 

초당 125MB 다운 받는 말입니다.

 

 

랜포트

 

랜포트는 랜선을 꽂는 단자를 말합니다.

 

이게 없으면 랜선 꽂을 곳이 없죠

 

 

WLAN

 

랜선의 입력을 받는 단자입니다.

 

기가 무선 공유기라면서 뻥뻥 자랑을 하는 공유기들이 많은데요.

 

WLAN이 100Mbps면, 1Gbps 속도의 무선이 아닌

 

100Mbps의 무선이 나옵니다.

 

그럼 왜 그렇게 광고를 하고, 왜 살까요?

 

그건 100메가 인터넷을 무선으로

 

거의 100% 가까이 뽑을 수 있기 때문이고,

 

무선만이라도 기가를 지원하면,

 

그만큼의 공유기 성능이 보장되기 때문입니다.

(성능이 높으면 다수가 사용하기에 유리합니다.)

 

 

802.11 b a/g n ac

 

802.11은 필요 없으니 생략하고,

 

802.11b: 최대 11mbps 속도

 

802.11a/g: 최대 54mbps의 속도

 

802.11n: 최대 300mbps의 속도

(N은 보급형이지만,일부 상위 N중에서는 듀얼채널밴드도 지원)

 

802.11ac: 최대 1300mbps의 속도

(일부중에서는 4개를 넣는 경우도 있음)

 

대충 이정도 속도인데,

 

일부 중에는 최대 속도가 더 높은게 있습니다.

 

그 이유는 곱하기를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N의 경우에는 무선 장치가 최대 150Mbps인데요.

 

이걸 x2...x3해서 박아버리면 그 이상이 되거든요.

 

괜히 최대 속도라고하는 게 아니라는 거죠.

 

 

채널밴드

 

와이파이 중에 2.4Ghz라던가 5Ghz있죠?

 

그걸 말하는 겁니다.

 

듀얼 채널밴드면 보통 2.4Ghz와 5Ghz가 있다는 걸 얘기하죠.

 

2.4Ghz의 경우에는 먼 거리에서 사용이 가능하지만,

 

속도가 안정적이지 못하고

 

5Ghz의 경우에는 속도는 안정적이지만,

 

근거리 밖에 사용이 안 됩니다.

 

 

 

SU-MIMO, MU-MIMO

 

어디서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아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사진과 같습니다.

 

공유기 수신 방식

 

SU방식은 기존 공유기들이 많이 쓰던 방식인데요.

 

네이밍에 MU라고 안 적혀 있으면

 

대부분이 SU-MIMO방식입니다.

 

사진에서도 보이듯이,

 

1번 2번 3번 4번 사람 순서대로 신호가 갑니다.

 

반대로 MU방식은 4명에게 동시에 보내는 방식인데요.

 

사진에서 보이다시피 다수 사용시에는

 

MU 방식이 되게 유리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게 바로 제가 다수 사용시에는

 

MU방식을 사라고 하는 이유이긴 합니다.

 

아무튼, 간단하게 용어 정리를 해봤는데요.

 

이 정도는 용어 정리하는 축에도 못 들지만,

 

왠만한 공유기 판단을 가능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저희는 무슨 공유기를 써야 좋을까요?

 

일단 공유기 스펙부터 봐야 합니다.

 

100메가 인터넷에 혼자 ~ 2명 정도 쓰는 거라면,

 

딱히 비싼 걸 쓸 필요도 없기 때문에

 

N 모델 ~ AC 모델 SU 방식으로 사시면 됩니다.

 

메모리가 뭔지 아실거라고 생각하는데요.

 

공유기에도 메모리가 있지만,

 

소수가 사용하기에는 그닥 많이 안 쓰거든요.

 

그래서 주로 추천하는 공유기가

 

 

 

EFM네트웍스 아이피타임 A604R

 

오엠지몰 OO73465 wifi EFM ipTIME A604R 867Mbps급 4LAN 포트 유무선공유기 분배기

COUPANG

www.coupang.com

 

요런 공유기입니다.

 

AC 방식으로 듀얼채널밴드와 100메가 인터넷을

 

완벽하게 뽑을 수 있는 인터넷!!

 

사실 이 이하 가격도 사면 되지만,

 

사람이 많은 곳에서는 와이파이 간섭이 심하기 때문에

 

이 이하의 모델은 그닥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타회사면 몰라도 말이죠.

 

그럼 기가 공유기는 무엇을 사느냐?

 

 

EFM네트웍스 아이피타임 A2004

 

EFM네트웍스 아이피타임 A2004 : 네이버쇼핑

포트 수 : 5개무선속도 : 900Mbps유선속도 : 1000Mbps안테나 : 외장안테나무선규격 : 802.11ac칩셋 : 리얼텍 RTL8197D부가기능 : 기가비트AS : 2년무상AS, 개별무선설정, 점보프레임, VPN, WDS, WPS, 아이안심IP(1개월무료)스마트폰어플 : PC제어, 원격관리품목 : 유무선공유기유선 10/100/1000Mbps, 무선 867Mbps, 802.1...

search.shopping.naver.com

 

요런 모델입니다.

 

NS모델의 경우에는 메모리와 USB포트단자 생기는데요.

 

사실상 소수가 와이파이용으로 쓰기에는 필요 없는 부분이죠.

 

그럼 메가 인터넷에 다수가 사용한다면?

 

 

EFM네트웍스 아이피타임 A604G-MU

 

(주)이에프엠네트웍스 ipTIME A604G-MU 5GWIFI공유기 아이피타임공유기추천

COUPANG

www.coupang.com

 

요런 공유기를 써야 합니다.

 

뒤에 모델명에 보시면 MU방식이라고 적혀있는데요.

 

이런 공유기가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기가인터넷 다수 사용의 경우입니다.

 

 

EFM네트웍스 아이피타임 A2004NS-MU

 

EFM네트웍스 아이피타임 A2004NS-MU 유무선공유기

COUPANG

www.coupang.com

 

이것보다 더 좋은 모델들도 많은데요.

 

그 중에서 전 이녀석을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AC1200이 기가 인터넷 지원 모델중 가장 싼 녀석입니다 ㅎㅎ

 

나는 유선을 많이 안 쓸 예정이고

 

조금이라도 싼 녀석을 원한다! 하시는 분들은

 

 

EFM네트웍스 아이피타임 A2003NS-MU

 

IPTIME A2003ns-MU 공유기와이파이무선

COUPANG

www.coupang.com

 

이 녀석을 추천드립니다.

 

위와 다른 점이라고는 USB포트와 랜포트수가 다르다는 점.

 

오늘 이렇게 공유기에 대해서 작성해보았는데요.

 

되게 쉽게 하려다보니 이렇게 길어진 것 같습니다.

 

꼭 IPT회사 말고도 다른 회사들도 많으니,

 

꼼꼼히 잘 살펴보셔서 자신에게 맞는 공유기를 사시길 바랍니다.

 

 

 

.

.

.

 

 

 

2021년 버전으로 다시 작성했습니다. 읽어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나에게 맞는 공유기 보는 방법 2021ver

이 내용으로 글을 쓰면서, 당시에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고 이게 그렇게 많이 찾는 글이 될 줄은 몰랐습니다. 이 글을 다시 한 번 작성하는 이유는 크게 3가지입니다. 1) MESH 기능이 추가 되어 공유

minereu.tistory.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AMD 채굴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설치 문제 및 atikmdag-patcher 사용법

IT/SW Tip|2019. 7. 19. 06:30
728x90
반응형

 

 

 

지난 번에 제가 채굴 그래픽카드 최적화에 대해 다룬 적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 사용법에 대해 문의가 생각보다 많아,

 

이 부분만 다시 정리해서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문제의 화면

 

채굴 그래픽카드는 바이오스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아무리 설치를 해도,

 

바이오스를 다시 설치를 해도,

 

바이오스가 불안정해서

 

드라이버를 제대로 인식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롬을 갈아도

 

안 될 경우에는 그냥 쓸 수 밖에 없다는 겁니다. 

 

 

 

드라이버를 설치해도 인식을 못하는 문제는

 

사실상 채굴 바이오스로 바꿨다가 다시 사용하는 거면,

 

큰 문제 없이 바이오스만 다시 되돌려줘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제 그래픽카드처럼,

 

기존 순정 바이오스나 채굴 바이오스 사용중에

 

임의로 바이오스 개조를 거친 경우에는

 

롬을 다시 깔아줘도 똑같은 증상이 나옵니다.

 

 

뭐, 바이오스를 다시 맞는 걸 찾아서 깔아주는 게 귀찮으면

 

답이 없기는 합니다...ㅋ

 

 

이 프로그램의 원리는 쉽게 말해서

 

일단은 순정바이오스이지만,

 

맞지 않는 바이오스 설정값을,

 

소프트웨어로 강제적 설정으로 통해

 

맞춰서 인식하게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AMD/ATI Pixel Clock Patcher

09-07-2012, 09:07 PM (Last edited: Yesterday, 05:38 PM by ToastyX)  AMD/ATI Pixel Clock Patcher AMD/ATI Pixel Clock Patcher modifies the AMD/ATI video driver to allow higher resolutions and refresh rates by removing the 165 MHz pixel clock limit for singl

www.monitortests.com

 

 

사용법 자체는 아주 간단합니다.

 

그냥 파일을 다운받고, 패치를 누르고 확인을 누르면

 

자동으로 패치가 완료되어, 끝난 겁니다.

 

 

 

 

'근데 왜 적용 했는데 안 되죠?

 

라고 물어보는 당신!

 

 

그렇습니다.

 

 

여러분은 뭔가가 빠진 겁니다!

 

 

 

 

이 프로그램은

 

패치를 적용하면 소프트웨어적으로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조정을 해줍니다.

 

즉, 이 과정을 거치게 되면 그래픽카드를 다시 잡아줘야 한다는 말입니다.

 

컴퓨터를 다시시작을 할 필요성이 있다는 말.

 

 

혹여나 재부팅하시고도 동일 증상이면,

 

다시 패치를 한 후 재부팅을 해주시면 됩니다.

 

 

저의 경우에는 재부팅을 대략 7번까지도 해봤는데,

 

대부분은 한 번만에 해결이 되는 경우가 많았고,

 

 

 

그 이상까지 한 이유는

 

라데온 소프트웨어에 맞게 이 프로그램 버전이 나눠져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2.5.2 업데이트까지만 지원이 되고,

 

나머지는 아직 파일이 안 떴는데,

 

그냥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패치를 해버리면,

 

뭔가 오류가 날 겁니다.

 

 

꼭 권장하는 버전에 맞는

 

패치를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패치 버전이 안 맞으면, 라데온 소프트웨어가 작동이 안 되는 증상이 생길겁니다)

 

버전은

 

 

여기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현재 기준으로는 21.6.1 ~ 21.7.2만 가능하다고 나오네요

 

 

 

다운로드는

 

 

왼쪽 zip 파일을 다운받으시면 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비트엠 Newsync X300WF 커브드 200HDR 무결점 개봉기

쇼핑/전자기기 리뷰|2019. 7. 11. 02:24
728x90
반응형

 

 

 

제가 주모니터로 사용중인 모니터 개봉기입니다.

 

제가 고민한 모니터 2종류

 

이 두 모니터의 차이점은 HDR 유무와 브랜드 인지도 차이 정도입니다.

 

사실상 모니터 스펙이 조금 다른 것도 있는데, 차이를 느끼기 어렵단 말이죠.

 

그래서 한성컴퓨터 모니터로 사야지... 하고 있었는데,

 

아니 이게 웬 떡?

 

11번가 x 비트엠 이벤트로 289000원+15000원 무결점을 판다고 하지 않습니까??

 

고민없이 바로 질렀습니다ㅎㅎ

 

그렇게 해서 비가 내리는 바람에....

 

주문한 토요일에서

 

수요일 밤 12시에 받게됩니다...

(저희 지역은 물량 때문에...)

 

이대로 배송 옴

 

거짓말 안 하고, 이대로 왔습니다...

 

사람이라는 게 말이죠... 개봉기를 하는 이유가 뭡니까??

 

까는 맛 아닙니까...??

 

근데, 모니터 박스 그대로 보내준다고??

 

비트엠 너 - 50점

 

아무튼, 사진을 잘 보시면 무결점이라고 스티커가 있습니다.

 

무결점은 체크를 위해 개봉하는 경우가 많으니 이점 참고하세요.

(봉인씰 얘기)

 

개봉기니까 간략하게 사진 찰칵

 

연결선 퀄리티에서 점수는 없습니다.

 

포장에서는 다 할 만큼 하니 추가점수 없음!

 

포장재에서 10점 추가 점수 줍니다

 

이 포장재는 일반 포장재가 아니군요...

 

좋아요. 10점 줍니다.

 

-40점

 

완성된 받침대

 

모니터 받침대입니다.

 

생각보다 튼튼하더라구요.

 

결합

 

한성 모니터를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모니터 나사 뽑기운이 아주 심합니다.

 

디자인이나 모니터 포트 위치를 보면

 

같은 공장이거나 주변 지역이 아닌가 의심이 드는 모니터인데요.

 

마감에서는 30점을 추가로 줘야겠습니다.

 

나사가 이렇게 나오면, AS나 교환을 받지 않아도 될 품질이거든요.

 

드라이버 없으신 분들 보세요

드라이버 없으신 분들을 위한 친절한 선물까지

(심지어 드라이버도 되게 편함)

 

좋습니다. 여기서 40점 추가!

 

이제 총합 30점입니다.

 

선 전체 샷

 

구성품은 어댑터와 전원선과 보급형으로 추정되는 HDMI 선입니다.

 

아마 HDMI 1.4 버전의 선이 아닐까 싶습니다.

 

받침대

받침대를 조립할 때 보면,

 

2개를 하나의 나사로 조립을 하는 방식인데요.

 

하단에 나사를 조으고 나서, 빈 구멍이 생깁니다.

 

거기에 미끄럼 방지 테이프를 붙일 수 있게 해놓은 비트엠~!

 

이게 파손 위험도 덜고, 조립하는 맛까지 주는거거든요

 

여기서 20점 추가~!

 

총합 50점인가요?

 

고급진 어댑터

 

사진에는 잘 안 보이실지도 모르겠지만,

 

되게 고급지게 되어있습니다.

 

여기서 전 15 점을 추가로 주겠습니다.

 

총합 65점.

 

모니터 전체

 

뒷면에 둥근 빛이 나오지만, 개봉기인 관계로 생갹하겠습니다.

(그냥 귀찮은 건 안 비밀)

 

뭐, 디자인 점수 10점 추가

 

모니터 200hz 설정 화면

 

사진에는 없지만, UI 자체도 되게 단순하고,

 

200Hz 써보니 진짜 신세계더군요...!!

 

신세계니까 5점 추가

 

총합 80점 짜리 모니터 되겠습니다~!

 

절 100% 만족 시키는 모니터는 없는 거 같네요. 다 가격대비일 뿐이지,

 

 

 

장점

 

21:9 비율에 HDR을 지원하며, WFHD해상도로 200Hz까지 지원하고

 

전체적으로 마감이 우수합니다. 서비스도 좋구요.

 

사진상에는 없으나 UI도 단순하고 편해서 좋습니다.

 

한성에 비해 뒷면에 커버가 있는데, 이게 먼지 방어 및 선 장착 편리합니다.

 

뒷면을 볼 수 있다면 멋짐!! 그 자체

 

USB단자와 HDMI 단자 2개, DP 단자 1개로 알찬 구성

 

OD 3ms로 장점아닌 장점

(OD는 오버입니다. GTG가 원래 값)

 

타사에 비해 튼튼한 받침대와 안정적인 위아래 조절이 가능하네요

 

생각보다 튼튼하고 가볍습니다.

 

그리고 어댑터가 너무 고급졍! 아, 물론 가격대비.

 

 

 

단점

DP1.2이라서 HDR이 사용이 안 되기 때문에 무의미합니다.

 

심지어 HDR은 H/W가 아닌, S/W이기 때문에 큰 기대는 어렵습니다.

(S/W는 소프트웨어 처리를 의미)

 

모니터 박스 그대로 배송하는 건 아무리 그래도 감점 사항입니다.

 

구매자가 보기에는 안정성 없어 보이는 물건으로 보이죠.

 

이건 진짜 문제인데, 0밝기를 낮춰도 30~100까지의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고,

 

갑자기 30이하에서 쭉 줄어듭니다.

 

국내에서 좀 많이 생소한 브랜드입니다.

 

동봉된 케이블이 보급형 케이블로 추정됩니다.

 

보급형이여도, 제조사에서 나온 거니 성능은 나오겠지만,

 

뭔가 좀 찝찝한게 사실이죠. 이 부분은 한성이 우위로 보입니다.

(물론, 본인은 집에 굴러다니는 HDMI2.1 사용중)

 

 

주의사항

 

HDMI 1번 포트가 HDMI2.0포트이고,

 

HDMI 2번 포트가 HDMI 1.4 포트입니다.

 

DP포트는 1.2로, HDR 미지원.

 

Hz는 HDMI 1.4는 75hz, 나머지 포트는 200hz 지원한다네요.

 

포트 위치는

포트 단자

왼쪽부터 오디오 3극 포트, DP1.2, HDMI 2.0, HDMI 1.4, USB, 전원 단자입니다.

 

HDMI와 DP 포트 순서가 타사랑은 좀 달라서 타사 쓰시던 분들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저처럼요)

 

네 이 정도네요.

 

뭔가 길게 쓰려고 해도, 아직 얼마 안 써서 그런지 잘 모르겠고,

 

한성 모니터를 지인분들에게 많이 추천을 해줘서 그런가

 

한성에 비해 되게 마감도 좋고 구매자에게 맞춰진 모니터네요.

 

물론, 단점도 있겠지만, 모니터 받침대 나사...

 

한성 모니터 나사 뽑기운 장난아니었거든요...

 

무결점 아니여도 괜찮은 거 같습니다.

(전 무결점 구매, 대놓고 스티커가 있더라구요 ㅋㅋ)

 

개봉기는 여기까지로 하고,

 

나중에 문제 발생하면 그때 다시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없으면 잘 쓰고있는 거죠. 뭐.

 

 

+ 추가내용

본문에 나온 동봉 케이블은 구성에 DP 케이블이라고 되어있다고 하네요.

 

혹시나 싶어서 전화해보니 DP케이블로 하나 무료배송으로 발송해준다고 합니다.

 

전화 상담원이 살짝 전투적인 부분은 있었지만,

 

따로 모니터 인증이나 사진 찍으라는 소리는 없어서 좋았네요.

 

결론은 HDMI와 DP 케이블 Gets.

(원래 용산 전자상가 분들이 전투적이니 참고)

 

 

 

728x90
반응형

댓글()

노트북 엔디비아 지포스 그래픽카드 고성능 최적화(Ndivia GeForce)

IT/SW Tip|2019. 6. 15. 16:47
728x90
반응형

 

오늘은 아주 간단한 내용을 가지고 왔습니다.

 

지식인으로 활동한지 벌써 몇년은 되었는데,

 

가끔 올라오던 질문이 딱 그겁니다.

 

"노트북 게임 성능이 안 나와요"

 

AMD 라데온은 다음 시간에 또 써보도록 하고,

 

오늘은 N당의 지포스라는 그래픽카드입니다.

 

저의 노트북은

 

지난 번에 구매한 이 녀석입니다.

 

 

레노버 330-15IKB (Type 81DE) 노트북 (ideapad) 개봉기 (i5 8250u mx150)

오늘은 드디어 노트북을 구매했다! 노트북의 이름은 워낙 파생형 모델이 많아서 뒤에 타입 이름까지 외워야 한다. 이번글은 되게 길어질 거 같으니, 2편이상으로 쓸 예정이다. 일단 사양부터 적어보겠다. 모델명:..

minereu.tistory.com

 

이 녀석은 그래픽카드는 mx150인데요.

 

GT1030의 노트북 버전이죠.

 

파스칼인 10세대부터 노트북과 PC차이가 줄어들면서,

 

GT도 어느새 GTX급의 성능이 되었습니다.

 

GT1030은 성능상으로 GTX750급인데요.

 

노트북은 PC에 비해 성능이 더 높게 나온 답니다.

 

 

 

아무튼

 

오늘의 본제인 지포스 전역 설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단 노트북은 휴대성과 배터리 사용을 위해

,

전기 소모가 큰 외장 그래픽 사용이 어려워요.

 

내장 그래픽의 경우, CPU의 일부를 GPU처럼 사용하다보니,

 

전력 소모는 적은데 성능이 그닥...이죠.

 

이렇듯,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NDIVIA가 내놓은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전역 설정!!

 

전역설정은 말 그대로, 소속을 바꾼다... 뭐, 이런 의미입니다.

 

원래 노트북은 고사양 사용시

 

외장 -> 내장을 통해서 출력이 되는데요.

 

이 떄문에 중간통로인 메모리 스펙과 용량이 중요한 거랍니다.

 

같은 메모리 스펙이 2개가 있다면,

 

이걸로 범위를 2배로 늘리는 게 듀얼채널이라는 기술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고속도로 2차선에서 4차선으로 늘리는 느낌이랄까요?

 

다만, 같은 스펙이 아니면 햐향조정이 될 수 있으니 참고는 하셔야 합니다.

 

 

 

다시 본제로 돌아와서,

 

이 외장 -> 내장 출력 방식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바꿔주는 게!

 

피직스라는 설정입니다.

 

기본 설정으로는 CPU와 그래픽카드를 자동으로 사용한다....이거지만.

 

외장 그래픽만으로 사용하게 하면, 성능이 up이 되는거죠. 뭐, 아주 간단하게.

 

피직스(PhysX) 설정

 

설정 자체는 간단합니다.

 

일단 제어판을 윈도우키를 누른후 검색을 하든,

 

바탕화면 오른쪽 마우스로 들어가든 하셔서,

 

PhysX라는 설정란에서 외장 그래픽으로 설정후 적용하시면 됩니다.

 

전역 설정

 

그러고는 상황에 따라 바꾸기 귀찮으니,

 

특정 고사양 프로그램만 고성능으로 설정하시면 끝입니다.

 

이러면 고사양으로 작동하게 되는 거죠!

 

 

728x90
반응형

댓글()

토스카드 GS25 결말 및 사건 정리

IT/IT 소식|2019. 6. 15. 08:03
728x90
반응형

 

오늘은 6월 14일 금요일에 9시 ~ 10시에 일어난

 

토스카드 결제 오류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9시 1분 경: GS25에서 토스카드 결제가 불가능.
결제시 돈만 빠지고, 매장에 돈이 지급이 안됨.
 
9시 6분경: GS25에서 토스카드를 금지카드로 지정.


9시 10분쯤: 모든 BC카드 소속 카드 사용 불가.

(결제사가 BC카드이면 안됨)


9시 59분쯤: BC카드 카드 결제 가능

10시 정각: 토스카드 결제 가능

저의 경우에는 토스카드를 9시 16분에 결제했으며, 전산오류 문제로 카드하나 더 꺼내 결제했습니다.
 
아마, 이 부분에서 BC만 아니면 되는 거 같습니다. GS25 결제 서버의 문제는 아니였던거죠.
(농협카드여도 결제사가 BC면 결제 X)
 
제 친구의 경우에는 느슨한 10시 정각에 결제해서, 무사히 적립을 받으셨다고 난리십니다.
 
저는 오늘 3시 28분 경, 환불 처리되면서 캐시백 취소되었습니다.
 
토스 환불 및 캐시백 회수

 

이번에는 토스측의 잘못이 어느정도 있기 때문에 그만한 대응이 필요한데요.

다행히 토스측은 이에 따른 대응을 했습니다.

 

토스 공지

 

토스카드 결제 오류 나신 분들은 모두 환불 처리및 전산 처리가 진행되며,
 
추후 캐시백 정산후 지급 된답니다.
 
추가로 GS25 결제시 10% 캐시백을 해준다고 하는데,
 
내용상으로는 총합 20% 캐시백을 해준다는 의미 같습니다.

(기존 33% 확률 10% 적립 + GS25 결제시 100% 확률로 10% 적립)


아무튼, 이번 사건... 대국민 눈속임 작전으로 끝날 뻔 했네요.
 
일부러 한 일이였으면 아주 큰일...
 
뭐, 워낙 BC카드를 이용하는 카드사들이 많다보니
 
이런 일이 일어난 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당장 카카오페이나 이런류의 카드들이 BC카드를 이용하고 있으니까요.
 
돈을 돌려받은 거라도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추후라도, 결제가 안 되었는데, 물건을 들고가 돈을 책임져야 되는 GS25알바생들이나, 1시간동안 사과만 한 알바생들...
 
점주들... 이 자리를 빌어 모두 수고의 말씀을 전해드립니다...
 
오늘 하루도 화이팅!
 
.
.
.
 
추가 내용입니다.
 
금일인 6월 15일 점심쯤에 캐시백으로 5000원이 들어왔습니다.

 

다만, 사진에도 보이듯이 캐시백 기록은 없고, 금액만 추가되었습니다.

 

금액만 추가된 토스앱

 

 

 

728x90
반응형

댓글()

컴퓨터 반응 속도 올리는 가장 쉬운 방법

IT/SW Tip|2019. 6. 11. 20:38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컴퓨터 반응 속도를 올리는 방법에 대해서 글을 써볼까 합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브라우저인 크롬이나 익스플로러를 켜는데 

 

로딩 바가 걸리적 거린다거나,

 

윈도우 창을 닫거나 여는데 조금의 답답함이 있다면,

 

아래의 방법을 권해봅니다.

 

이 방법은 SSD 사용자에게 권해드리는 방법이며,

 

HDD 사용자의 경우에는 7200RPM 이상의 HDD 사용시에만 권해드립니다.

(반응 속도를 올리는 만큼, 저장장치가 느리면 그게 더 거슬리거든요)

 

일단, 설명하기 전에 아래 링크도 도움이 되니

 

읽어보시고, 아래 내용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윈도우10 최대절전모드 켜기/끄기 (빠른시작 기능)

윈도우 10 사용 유저. SSD 사용 유저. 들의 공통된 고민이 하나 있다. 문제 없이 써왔던 시스템이 어느날부터 버그를 뿜뿜하기 시작할 때. 이 해결을 위해서 이것저것 검색해보니 인터넷에선빠른

minereu.tistory.com

 

방법 자체는 간단합니다.

 

일단 

 

제어판에 들어갑니다.

윈도우10 의 경우, 돋보기를 누르거나, 윈도우키를 한 번 누르고 제어판을 검색하세요.

 

시스템이라는 문구를 눌러줍니다.

 

제어판에서 시스템이라는 문구에 들어가주세요.

 

고급설정을 누릅니다.

 

왼쪽 옆의 고급설정을 누릅니다.

 

고급 - 성능 - 설정을 눌러줍니다.

 

네모칸의 설정을 눌러주세요.

 

네모칸의 체크를 풀어주시면 됩니다.

 

창을 닫거나 열 때 일어나는 애니메이션을 꺼주는 방법입니다.

 

해당 방법으로도 상당한 체감 차이가 있을 겁니다.

 

시각 효과 옆 고급을 눌러주면 다음 화면이 뜹니다.

 

자동 관리를 풀어주시고,

 

SSD이실 경우, 사용자 지정크기에서 1024만 최소최대로 입력해주세요.

 

그리고 설정을 누르시고 확인을 누르시면 적용이 된답니다.

 

이거는 가상메모리라고하여,

 

메모리가 없을 경우 저장용량을 사용하여 가상으로 메모리를 사용하는 방법인데요.

 

메모리를 쓸 때마다 해당 용량 만큼이 실시간을 사용되기 때문에,

 

수명이 TB급인 SSD이더라도, 무리가 있어요.

 

가급적이면 1024가 적당합니다. 많아도 4096 정도?

 

(SSD는 120~250GB가 120TB미만, 500GB정도가 200TB미만이예요. 용량에 따라 수명도 다르다는 사실~)

 

물론, HDD는 쓰기속도가 무제한이기 때문에 8096 최소최대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다만, HDD는 긁는 방식이기 때문에, 부품 수명이 그렇게 길진 않죠.

 

갈굴 때 확실히 갈구시는 게 좋습니다.

 

필자의 설정

 

마지막으로 브라우저 설정입니다.

 

크롬의 예시

 

크롬의 경우, 위 사진과 같은 점 3개를 눌러주세요.

 

그리고 맨아래의 고급을 눌러줍니다.

 

네모박스 2개의 체크를 풀어주세요.

 

백그라운앱은 크롬을 닫은 후에도 계속 작동한다는 말인데요.

 

안 쓰는데 굳이 있을 필요도 없는 기능입니다.

 

하드웨어가속

 

CPU성능이 부족할 때 그래픽카드의 힘을 빌려 연산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쉽게 말하면, 그래픽카드로 인터넷 웹서핑을 하는 것이지요.

 

그냥 듣기에는 참 좋아 보이는데,

 

CPU가 혼자 처리해도 될일을,

 

굳이 그 먼 거리를 갔다가 돌아오는 거라 좀 느린 편이에요.

 

CPU가 엄청 좋지 않은 이상은 끄는 걸 권해드립니다.

 

오히려 CPU만 사용하면 엄청 빨라요.

 

물론 CPU점유율이 올라갈 수는 있는데요.

 

기존에 그래픽카드가 맡아두던 %를 CPU가 다 부담해서 그런 거니 정상입니다.

 

익스프로러의 경우에는

 

 

오른쪽 상단의 도구를 눌러주시고

 

인터넷 옵션을 눌러주세요.

 

그 인터넷 옵션

 

네모 박스의 GPU 렌더링 대신 소프트웨어 렌더링 사용을 눌러주시면,

 

오로직 CPU만 작동해서 더 빠른 속도를 체감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 컴퓨터 기본 상식중 하나였습니다~

 

다음에는 단어장이라도 정리하듯이 블로그에 차차 글을 남겨볼게요~

 

 

728x90
반응형

댓글()

팟플레이어 소리가 출력이 안 되는 코덱 문제 해결 방법

IT/SW Tip|2019. 5. 11. 13:10
728x90
반응형

 

 

주로 사운드 코덱 문제로 발생하는 코덱

 

DTS라는 BD(블루레이) 코덱입니다.

 

원래 이게 유료코덱이지만,

 

왜인지 모르게 팟플레이어에서는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팟플레이어 실행시 사운드를 재생할 수 없다는 문구가 나오는데,

 

여기서 코덱 찾기를 누르면 계속 opencodec이라는 파일

 

자동으로 다운받게 합니다.

 

이게 바로 제가 말한 'DTS코덱을 포함한 왠만한 실행 코덱'입니다.

 

이런걸 제공해주는 팟플레이어는 어쩌면 완벽에 가까운 동영상 프로그램일지도 모릅니다.

 

 

 

 

아무튼, 팟플레이어를 켠후,

 

오른쪽 마우스 클릭 - 필터 - 코텍 필터 관리를 누릅니다.

 

오른쪽 마우스 클릭 - 필터 - 코텍 필터 관리

 

여기서 내장 코덱 설정을 누른 뒤,

 

 

내장코덱 설정을 누른 상태

문제의 DTS 코덱을 다른 코덱으로 바꿔보길 바랍니다.

 

저의 경우, open코덱으로 바꾼뒤, 혹시나 싶어서 되돌려봤더니

 

아주 멀쩡하게 잘 작동합니다....?

 

 

아무튼 아주 간단한 해결법이었습니다.

 

이걸로 해결이 안 된다면,

 

팟플레이어와 오픈 코덱을 지우고 다시 까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오픈코덱 설치는 일반 또는 고급으로 설치를 하면 더 편할 겁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레노버 정품인증 & 구매시기 A/S 받는 법

IT/IT 잡담|2019. 4. 22. 19:04
728x90
반응형

 

 

레노버 노트북을 A/S를 어떻게 받을까....

 

궁금하던 찰나에,

 

글로 써보면 어떨까라는 심정으로 글을 써봅니다.

 

 

일단, A/S기간 자체는

 

노트북 제조일을 기준으로 맞춰지기 때문에

 

따로 신청할 필요가 있습니다.

 

노트북 판매처에서는

 

고객센터에 전화를 하라고 명시되어 있지만,

 

그것 외에 아주 쉬운 방법이 따로 있습니다.

 

 

Registration - Lenovo Support KR

 

support.lenovo.com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서 가입을 하면,

 

이런 화면이 나올겁니다.

 

 

레노버 정품 인증 화면

 

해당 화면에서

 

오른쪽 상단에 있는 칸에 시리얼 번호를 입력하고 

 

제출을 하면 끝.

 

노트북 정품 인증 화면

 

1번은 등록된 시리얼 안내

 

2번은 등록 ID 정보

 

다른건 다 신경 안 쓰고, 2번과 2번 상단의 구매일만 입력하면 편합니다.

 

 

필요 없는 정보

3번의 경우. 일반인에게는 거의 필요 없습니다.

 

그냥 등록완료하면 끝입니다.

 

 

2~3일 후 미등록으로 나올 경우에는

 

문의하기를 눌러서

 

구매 영수증이 아닌, 효력을 지닌 영수증을 첨부하여 메일로 보내면 해결됩니다.

(메일을 보낸지 거의 2~3분만에 처리를 받을 수 있었음. 오후 7시 기준)

 

 

 

 

728x90
반응형

댓글()